💡안드로이드 아키텍처 패턴에서 Data Layer 역할을 담당하는 Repository, DataSourece에 대하여 기록하였습니다. 아키텍처 원칙앱 컴포넌트를 설계할 때 데이터 모델에서 UI를 도출해야 하는데 가급적이면 지속적인 모델이 권장됩니다.이를 기반으로 앱 아키텍처를 구축하면 테스트 가능성과 견고성이 높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데이터 모델은 UI요소나 기타 컴포넌트들과 독립되어 있는데, 지속적인 데이터 모델이 이상적인 아키텍처 패턴이 될 수 있습니다.지속적인 데이터 모델OS에서 리소스를 확보하기 위해 앱을 제거해도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습니다.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비연결 상태에도 앱이 동작 합니다.SSOTSingle source of truth의 약자로 단일 소스 저장소를 뜻합니다..
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training/data-storage/room?hl=ko#components Room을 사용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저장 | Android 개발자 | Android Developers Room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더 쉽게 데이터를 유지하는 방법 알아보기 developer.android.com Room Room 지속성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SQLite를 통해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엑세스 방법을 배운다. 큰 규모의 구조화 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앱을 room을 활용해서 데이터를 로컬에 유지하는 방법으로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. 가장 큰 이점은 기기가 네트워크에 엑세스할 수 없을 때도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로 계속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관련 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