💡REST API와 RESTful API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.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(자원이 표현)으로 구분해 해당 자원의 상태(정보)를 행위로 주고 받는 것들을 의미합니다.자원의 표현에 의한 상태 전달[자원] :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으로 문서, 그림, 데이터, 소프트웨어 자체 등[표현] :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[상태 전달] : 데이터가 요청되는 시점에 자원의 상태를 전달하며, 주로 JSON 활용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를 활용하여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.REST는 네트워크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규약을 가지는 아키텍처입니다.어떤 자원에 대..
DRF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RF의 동작 방식을 알아야 했다. DRF에서는 model - serializer - view - url 순으로 구현해야 한다.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작성한 코드로 해당 방식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겠다. user App 내에서 구현하였다. [model 구현] 모델은 데이터이다. class searchLog(models.Model): username = models.ForeignKey(Profile,on_delete=models.CASCADE,related_name='searchLogPost',to_field='username_id') log = models.CharField(max_length=50,db_column='log') model에서 serchLog라는 class를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